
금융소득 1000만원의 나비효과
금융소득이 늘어나는 것은 좋지만, 자칫하면 ‘건강보험료 폭탄’이 될 수 있습니다. 1000만원, 2000만원의 기준을 명확히 알고 현명하게 대비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나는 어떤 가입자일까요?
직장가입자
회사에 소속되어 월급을 받는 근로자입니다. 건보료는 기본적으로 월급에 따라 결정되지만, 월급 외 소득이 많아지면 추가 건보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역가입자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직장가입자가 아닌 모든 분들이 해당됩니다. 소득과 재산을 기준으로 건보료가 산정되어 기준이 더 엄격합니다.
피부양자
주로 직장가입자에게 생계를 의존하는 가족입니다. 소득과 재산 요건을 충족해야 자격이 유지되며, 초과 시 지역가입자로 전환됩니다.
가입자별 건보료 추가 기준
🏢 직장가입자: 두 가지 시나리오
직장가입자는 월급 외 다른 소득이 있는지에 따라 건보료 추가 기준이 달라집니다.
시나리오 1: 월급 + 금융소득만 있는 경우
추가 건보료 없음!
2,000만원 초과분에 대해 추가 건보료 부과
시나리오 2: 월급 + 금융소득 + α (임대소득 등)
금융소득은 합산 제외.
다른 소득이 2천만원 넘는지 따져봄
금융소득 전체와 다른 소득을 합산, 2천만원 초과분에 건보료 부과
🏠 지역가입자: 1,000만원의 문턱
지역가입자는 금융소득이 연 1,000만원을 넘으면 초과분이 아닌 소득 전체에 대해 건보료가 부과되어 부담이 크게 늘어납니다.
👨👩👧👦 피부양자: 재산과 소득의 이중 관문
피부양자 자격을 유지하려면 재산과 소득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재산세 과세표준 (주택 기준) | 연소득 기준 |
|---|---|
| 9억원 이하 | 2,000만원 이하 |
| 9억원 초과 ~ 15억원 이하 | 1,000만원 이하 |
| 15억원 초과 | 소득 무관 자격 상실 |
해외 투자, 건보료 운명을 가른다
똑같은 해외 투자라도 어떤 상품에 투자하는지에 따라 세금 종류가 달라지고, 이는 건강보험료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건보료에 영향 있음 (종합소득)
- 해외주식에서 받은 배당금
- 국내에 상장된 해외 ETF 매매차익
✅ 건보료에 영향 없음 (양도소득)
- 해외주식을 매매해서 얻은 시세차익
- 해외에 상장된 해외 ETF 매매차익
‘건보료 폭탄’ 피하는 3가지 전략
1. 금융자산 분산
부부간 자산을 분산하여 각자의 금융소득이 기준금액(1천만원 또는 2천만원)을 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전략입니다.
2. 절세 계좌 활용
ISA, IRP, 연금저축 계좌에서 발생한 소득은 건보료에 즉시 반영되지 않습니다. 이 계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과세를 이연시키세요.
3. 포트폴리오 조정
배당소득이 많은 고배당주는 건보료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절세 계좌(ISA 등)에 우선적으로 편입하여 운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