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득 1천만원도 건보료 폭탄을 맞을수 있다고요?

금융소득 1천만원도 건보료 폭탄을 맞을수 있다고요?
금융소득과 건강보험료 인포그래픽

금융소득 1000만원의 나비효과

금융소득이 늘어나는 것은 좋지만, 자칫하면 ‘건강보험료 폭탄’이 될 수 있습니다. 1000만원, 2000만원의 기준을 명확히 알고 현명하게 대비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나는 어떤 가입자일까요?

🏢

직장가입자

회사에 소속되어 월급을 받는 근로자입니다. 건보료는 기본적으로 월급에 따라 결정되지만, 월급 외 소득이 많아지면 추가 건보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지역가입자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직장가입자가 아닌 모든 분들이 해당됩니다. 소득과 재산을 기준으로 건보료가 산정되어 기준이 더 엄격합니다.

👨‍👩‍👧‍👦

피부양자

주로 직장가입자에게 생계를 의존하는 가족입니다. 소득과 재산 요건을 충족해야 자격이 유지되며, 초과 시 지역가입자로 전환됩니다.

가입자별 건보료 추가 기준

🏢 직장가입자: 두 가지 시나리오

직장가입자는 월급 외 다른 소득이 있는지에 따라 건보료 추가 기준이 달라집니다.

시나리오 1: 월급 + 금융소득만 있는 경우

금융소득 연 2,000만원 초과?
➡️
아니오

추가 건보료 없음!

➡️

2,000만원 초과분에 대해 추가 건보료 부과

시나리오 2: 월급 + 금융소득 + α (임대소득 등)

금융소득 연 1,000만원 초과?
➡️
아니오

금융소득은 합산 제외.
다른 소득이 2천만원 넘는지 따져봄

➡️

금융소득 전체와 다른 소득을 합산, 2천만원 초과분에 건보료 부과

🏠 지역가입자: 1,000만원의 문턱

지역가입자는 금융소득이 연 1,000만원을 넘으면 초과분이 아닌 소득 전체에 대해 건보료가 부과되어 부담이 크게 늘어납니다.

👨‍👩‍👧‍👦 피부양자: 재산과 소득의 이중 관문

피부양자 자격을 유지하려면 재산과 소득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재산세 과세표준 (주택 기준) 연소득 기준
9억원 이하 2,000만원 이하
9억원 초과 ~ 15억원 이하 1,000만원 이하
15억원 초과 소득 무관 자격 상실

해외 투자, 건보료 운명을 가른다

똑같은 해외 투자라도 어떤 상품에 투자하는지에 따라 세금 종류가 달라지고, 이는 건강보험료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건보료에 영향 있음 (종합소득)

  • 해외주식에서 받은 배당금
  • 국내에 상장된 해외 ETF 매매차익

✅ 건보료에 영향 없음 (양도소득)

  • 해외주식을 매매해서 얻은 시세차익
  • 해외에 상장된 해외 ETF 매매차익

‘건보료 폭탄’ 피하는 3가지 전략

🔄

1. 금융자산 분산

부부간 자산을 분산하여 각자의 금융소득이 기준금액(1천만원 또는 2천만원)을 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전략입니다.

🏦

2. 절세 계좌 활용

ISA, IRP, 연금저축 계좌에서 발생한 소득은 건보료에 즉시 반영되지 않습니다. 이 계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과세를 이연시키세요.

📈

3. 포트폴리오 조정

배당소득이 많은 고배당주는 건보료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절세 계좌(ISA 등)에 우선적으로 편입하여 운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