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바바는 세계 최대 기업이 될 수 있을까?

알리바바는 최근 인공지능(AI) 분야에서 큰 성과를 이루며 주목받고 있다. 특히 자체 개발한 QwQ-32B라는 AI 모델이 뛰어난 성능과 낮은 비용으로 세계적인 관심을 끌고 있으며, 이를 통해 중국의 AI 시장을 지배할 수 있는 잠재력을 입증했다. 이번 글에서는 알리바바가 이러한 혁신적인 성과를 통해 과연 세계 최대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알리바바 AI 혁신의 배경과 경쟁력

알리바바의 인공지능 경쟁력의 핵심은 중국 내 뛰어난 엔지니어 인재 풀과 강력한 정부 지원에서 비롯된다. 최근 중국에서 개발된 DeepSeek-R1 모델은 오픈AI의 최신 모델을 능가할 정도로 효율성에서 큰 혁신을 이루었으며, 알리바바는 이와 유사한 성능을 보이는 QwQ-32B 모델을 훨씬 작은 규모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중국 엔지니어들의 기술력이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했음을 입증하는 사례로 평가된다.

QwQ-32B: Embracing the Power of Reinforcement Learning

특히 알리바바는 중국 내 클라우드 생태계의 중심축으로, 막대한 데이터와 우수한 인적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앞으로 AI 기술 발전에서 가장 큰 혜택을 얻을 수 있는 위치에 있다.

QwQ-32B 모델이 가진 의미와 영향력

알리바바의 QwQ-32B 모델은 성능과 비용 면에서 기존 AI 모델보다 월등히 뛰어난 효율성을 보여준다. DeepSeek-R1과 비교해도 성능은 동등하지만, 필요한 GPU 메모리가 약 1.5TB에서 24GB로 크게 줄어들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은 저렴한 비용으로 더 쉽게 AI 기술을 도입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QwQ-32B 모델이 오픈소스로 공개됨에 따라 알리바바가 주도하는 AI 생태계가 확대되는 효과도 있다.

이 모델의 성공은 알리바바가 향후 중국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AI 혁신의 중심지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중국 정부 주도의 AI 생태계 구축과 알리바바의 혜택

서방 국가와 달리 중국은 국가 주도로 AI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정부가 주도하는 데이터 공유, 인재 양성, 기술 협력 체계를 통해 알리바바는 막대한 자원과 국가적 지원을 얻고 있다. 이러한 환경은 서구의 테크기업들이 따라오기 어려운 경쟁력을 알리바바에게 제공한다.

알리바바는 최근 중국 정부로부터 AI 표준화 작업을 주도할 기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러한 정부와의 전략적 협력은 알리바바가 장기적으로 글로벌 AI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미국의 경우 기업이 단기적인 투자 수익성을 우선시해야 하는 반면, 알리바바는 국가 차원의 장기적인 투자를 기반으로 큰 위험을 감수한 혁신 프로젝트까지도 수행할 수 있는 유리한 입장이다.

중국 반도체 자립화 전략과 알리바바의 기술적 자립 강화

그동안 중국 기업들은 첨단 GPU를 비롯한 핵심 반도체를 서방 국가에 의존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수출 제재 강화와 EUV 장비 수입 차단 등의 압력으로 인해 중국은 자국 내 반도체 공급망 구축에 집중 투자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가 대규모로 추진 중인 반도체 자립화 프로그램(Big Fund III)은 성공을 거두고 있으며, 자체 EUV 장비 개발까지 현실화되는 중이다.

알리바바는 이러한 국내 반도체 공급망 구축 덕분에 기술적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AI 기술 경쟁력을 한층 더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알리바바의 금융적 성과와 성장 잠재력

최근 발표된 알리바바의 재무 실적은 AI 사업의 성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클라우드 부문의 매출이 전년 대비 13% 성장하는 등, AI 기반 서비스의 활용 증가가 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성장은 향후 알리바바가 더 큰 규모의 투자를 추진할 수 있는 발판이 되고 있다.

알리바바는 현재 중국 내에서 전자상거래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시장에서도 약 39%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향후 AI 기술을 통해 이러한 경쟁력을 더욱 높여 서구의 아마존이나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글로벌 기술 기업을 능가할 가능성도 충분히 존재한다.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주요 리스크

그러나 알리바바가 글로벌 기술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중국 정부와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과거 마윈 창업자가 중국 정부에 비판적 입장을 보였을 때 알리바바가 심각한 위기를 맞았던 사례에서 알 수 있듯, 정부와의 원만한 관계 유지가 필수적이다. 또한 바이두(Baidu)나 텐센트(Tencent) 같은 경쟁 기업들이 강력한 AI 모델을 출시할 경우 정부 지원이 분산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결론 및 전망

알리바바는 중국 정부의 전략적 지원, 독보적인 AI 기술 경쟁력, 반도체 자립화 환경을 바탕으로 글로벌 기술 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현재 알리바바의 시가총액 약 3340억 달러와 주가수익비율(P/E)이 20배라는 점을 고려하면,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기업 가치는 더욱 높아질 여지가 크다. 특히 미국 기업들의 P/E 수준과 비교해봐도 알리바바의 평가가 지나치게 저평가된 상태이며, 향후 AI 분야에서의 지배력 확대와 함께 그 가치가 크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KimPro Story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