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익 채권 투자의 개념부터 포트폴리오 활용법까지

1. 왜 지금 하이일드 채권 ETF에 주목해야 하는가?
변동성이 금융 시장의 ‘뉴노멀’이 된 시대입니다. 주식 시장은 예측 불가능한 움직임을 보이고, 전통적인 예금 금리는 자산 증식의 대안이 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창출하면서도 일정 수준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중위험 중수익’ 자산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바로 하이일드 채권(High-Yield Bond)이 그 중심에 있습니다.
설정일 | 2007/04/11 |
---|---|
기초자산 | Markit iBoxx Liquid High Yield TR USD |
운용사 | iShares |
순자산(천,$) | 17,882,200 |
주식수(천) | 221,100 |
보유종목수 | 1,295 |
보수율 (%) | 0.4900 |
추적오차 | 0.1600 |
Beta | 1.0100 |
배당주기 | Monthly |
배당률 (%) | 5.71 |
프리미엄/디스카운트 (%) | -0.6040 |
하이일드 채권은 신용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기업들이 발행하는 채권으로, 높은 이자(쿠폰)를 지급하는 대신 원금 손실의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과거에는 기관 투자자들의 전유물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HYG ETF와 같은 상품을 통해 개인 투자자도 소액으로 수백 개의 하이일드 채권에 분산 투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HYG ETF란 무엇인가? 기본 개념과 운용 철학
HYG ETF의 정식 명칭은 ‘iShares iBoxx $ High Yield Corporate Bond ETF’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중 하나인 블랙록(BlackRock)의 ETF 브랜드 ‘아이셰어즈(iShares)’가 운용하는 상품입니다. 2007년에 상장되어 15년이 넘는 긴 역사를 자랑하며, 하이일드 채권 ETF 시장에서 가장 대표적이고 규모가 큰 상품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HYG는 ‘Markit iBoxx USD Liquid High Yield Crossover Index’라는 지수를 추종합니다. 이는 미국 달러로 발행된 유동성이 풍부한 하이일드 채권들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추적하는 지수입니다. 즉, HYG ETF 한 주를 매수하는 것은 이 지수에 포함된 수많은 미국 하이일드 채권 묶음을 한 번에 사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집니다. 이를 통해 개별 채권의 부도 위험을 분산시키고,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손쉽게 하이일드 채권 시장 전체에 투자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줍니다.
3. HYG ETF의 핵심 포트폴리오: 어떤 채권에 투자하는가
HYG ETF는 특정 채권 몇 개에 집중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1,000개가 넘는 다양한 채권에 자산을 분산합니다. 이는 투자자가 특정 기업의 부도 리스크에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핵심적인 장치입니다. 포트폴리오의 주요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 아래 수치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구분 | 내용 | 설명 |
총 보유 종목 수 | 약 1,200개 이상 | 다수의 채권에 분산하여 개별 기업 리스크를 희석 |
주요 투자 국가 | 미국 (약 90% 이상) | 주로 미국 기업이 발행한 달러 표시 채권에 투자 |
신용등급 분포 | BB 등급 (약 50%) | 하이일드 채권 중에서는 가장 우량한 등급의 비중이 높음 |
B 등급 (약 38%) | 중간 수준의 신용 위험을 가진 채권 | |
CCC 등급 이하 (약 12%) |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지만, 부도 위험도 가장 큰 등급 | |
주요 투자 섹터 | 경기소비재, 통신, 에너지 등 | 특정 산업에 편중되지 않고 다양한 산업군에 고르게 분산 |
이처럼 HYG는 주로 BB 등급과 B 등급의 채권에 집중하여 안정성과 수익성의 균형을 맞추려는 특징을 보입니다.
4. 투자 매력 1: 높은 수준의 월배당금(분배금)의 매력
HYG ETF의 가장 큰 투자 매력은 매월 꾸준히 지급되는 ‘월배당금(분배금)’입니다. 채권에서 발생하는 이자 수익을 재원으로 하여 투자자들에게 현금 흐름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는 은퇴 생활자나 매월 고정적인 수입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특히 매력적인 요소입니다.

과거 HYG의 연간 분배율(배당수익률)은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하지만, 통상적으로 연 4% ~ 6% 수준을 보여왔습니다. 이는 미국 국채나 투자등급 회사채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치입니다.
기간 | 연간 분배율 (예시) | 특징 |
평상시 | 4.5% ~ 5.5% |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의 2~3배 수준의 수익률 기대 |
시장 불안기 | 6.0% 이상 | 채권 가격 하락 시, 기대 배당수익률은 오히려 상승하는 경향 |
이러한 월배당금은 재투자하여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거나, 생활비 등 현금 필요에 맞춰 인출하여 활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5. 투자 매력 2: 주식 시장과의 낮은 상관관계와 자산배분 효과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투자의 오랜 격언은 자산배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HYG ETF는 주식과 채권의 중간적 성격을 지니고 있어 훌륭한 분산투자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하이일드 채권은 주식 시장과 어느 정도 동행하는 경향이 있지만, 그 변동성은 주식보다 훨씬 낮습니다.
예를 들어, 주식 시장이 10% 하락할 때 HYG는 3~4% 정도 하락에 그치는 경향을 보입니다. 반대로 주식 시장이 급등할 때 상승폭은 제한되지만, 꾸준한 이자 수익을 통해 안정적인 성과를 냅니다. 따라서 주식 100% 포트폴리오에 HYG ETF를 일정 비율 편입하면, 전체 포트폴리오의 위험(변동성)을 낮추면서도 이자 수익을 더해 장기적인 성과를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6. 반드시 알아야 할 리스크 1: 신용 위험(Credit Risk)
하이일드(High-Yield)라는 이름의 이면에는 ‘높은 위험’이 존재합니다. 가장 핵심적인 위험은 바로 신용 위험, 즉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 경영 악화로 인해 이자나 원금을 제때 갚지 못할 ‘부도(Default)’의 가능성입니다.
만약 HYG가 보유한 특정 기업의 채권이 부도 처리되면, 해당 채권의 가치는 급락하거나 최악의 경우 0이 될 수 있으며 이는 ETF 전체의 순자산가치(NAV) 하락으로 이어집니다. 예를 들어, 경기 침체가 심화되면 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되고 부도율이 상승하면서 하이일드 채권 시장 전체가 약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수많은 기업들이 파산 위기에 몰리면서 HYG ETF의 가격 역시 큰 폭으로 하락했던 것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Top 10 Holdings
Holding | Weight |
---|---|
BlackRock Cash Funds Treasury SL Agency | 1.22% |
1261229 Bc Ltd. 10% | 0.43% |
Medline Borrower LP 3.875% | 0.42% |
Tibco Software Inc 6.5% | 0.39% |
Quikrete Holdings Inc 6.375% | 0.38% |
Cloud Software Group Inc. 9% | 0.37% |
DISH Network Corporation 11.75% | 0.36% |
Directv Financing LLC/Directv Financing Co-Obligor Inc. 5.875% | 0.33% |
HUB International Ltd. 7.25% | 0.33% |
Truist Insurance Holdings LLC & Panther Co-Issuer Inc. 7.125% | 0.30% |
Total | 4.52% |
# of Holdings | 1295 |
다만, HYG는 수백 개 이상의 채권에 분산 투자하므로 한두 기업의 부도가 ETF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투자자는 개별 기업의 부도보다는 시장 전반의 ‘부도율 추이’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7. 반드시 알아야 할 리스크 2: 금리 위험(Interest Rate Risk)
모든 채권은 금리 위험에 노출됩니다. 쉽게 말해, 시장 금리가 오르면 기존에 발행된 채권의 매력도가 떨어져 가격이 하락하고, 반대로 금리가 내리면 채권 가격은 상승합니다. 이 금리 변화에 대한 채권 가격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바로 ‘듀레이션(Duration)’입니다.
HYG ETF의 듀레이션은 통상 3~4년 수준입니다. 이는 시장 금리가 1% 상승할 때, HYG의 가격은 이론적으로 약 3~4% 하락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듀레이션이 7~8년에 달하는 미국 장기 국채 ETF에 비해서는 금리 위험이 절반 수준으로 낮은 편입니다.
따라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시기에는 HYG 역시 단기적인 가격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금리 인상기에는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투자에 임해야 합니다.
8. 총 보수(수수료)와 기타 비용이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ETF 투자의 장기 성과를 결정짓는 숨겨진 요인 중 하나가 바로 ‘총 보수(수수료)’입니다. HYG ETF의 연간 총 보수(Expense Ratio)는 0.49%입니다. 이는 1,000만 원을 투자했을 때 매년 약 4만 9천 원의 비용이 운용사에게 수수료로 지급된다는 의미입니다.
0.49%는 얼핏 작아 보일 수 있지만, 장기 투자의 복리 효과를 갉아먹는 주된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평균 6%의 수익률을 기대하고 10년간 투자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총 보수가 없었다면 10년 후 투자 원금은 약 1,791만 원이 됩니다. 하지만 매년 0.49%의 보수를 차감하면, 실제 수령액은 약 1,708만 원으로 줄어듭니다. 약 83만 원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ETF를 선택할 때는 제공하는 가치와 함께 운용 보수가 합리적인 수준인지 반드시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9. 과거 성과 분석: 주요 경제 위기에서 HYG ETF의 움직임
과거의 성과가 미래를 보장하지는 않지만, 위기 시 자산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HYG ETF는 두 차례의 큰 경제 위기를 겪었습니다.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리먼 브라더스 파산 사태 전후로 기업 부도율이 급증하자, HYG 가격은 고점 대비 -30% 이상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이는 주식 시장의 하락폭보다는 작았지만, 안전자산으로 보기에는 어려운 움직임이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경기가 회복되면서 빠르게 가격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팬데믹 선언과 함께 시장이 공포에 휩싸이자 HYG 가격 역시 단기간에 -20% 이상 급락했습니다. 그러나 미 연준의 공격적인 유동성 공급 정책에 힘입어 수개월 만에 이전 가격을 대부분 회복했습니다.
이 두 사례는 HYG가 경기 침체나 신용 경색 시기에는 주식과 유사하게 자산 가격이 하락하는 위험 자산의 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위기 시에는 가격 하락을 감수해야 하지만, 경기가 회복 국면에 접어들면 빠르게 반등하는 탄력성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0. 경쟁 ETF 심층 비교: HYG ETF vs JNK ETF
하이일드 채권 ETF 시장에는 HYG의 강력한 경쟁자인 JNK(SPDR Bloomberg High Yield Bond ETF)가 있습니다. 두 ETF는 매우 유사하지만 미세한 차이가 존재하므로, 투자자는 자신의 기준에 맞는 상품을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구분 | HYG (iShares) | JNK (SPDR) | 비고 |
운용사 | BlackRock | State Street | 모두 세계 최상위 운용사 |
운용 규모 (AUM) | 더 큼 (약 $14B) | 상대적으로 작음 (약 $8B) | 운용 규모가 클수록 거래 유동성이 풍부 |
총 보수 | 0.49% | 더 저렴함 (0.40%) | 장기 투자 시 JNK가 비용 측면에서 유리 |
추종 지수 | Markit iBoxx | Bloomberg US High Yield | 지수가 달라 보유 종목에 미세한 차이 발생 |
보유 종목 수 | 약 1,200개 | 약 1,000개 | HYG가 조금 더 분산된 포트폴리오 |
신용등급 | BB, B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 | B, CCC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 | HYG가 JNK보다 신용 위험이 약간 낮다고 평가됨 |
결론: 유동성과 안정성을 더 중시한다면 HYG, 약간의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저렴한 비용을 선호한다면 JNK가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두 ETF의 장기 성과는 거의 유사하므로, 개인의 선호에 따라 결정해도 무방합니다.
11. 개인 투자자 포트폴리오 편입 전략: 어떤 역할을 맡길 것인가
- 안정 추구형 투자자: 전체 자산의 5~10% 소액을 편입하여, 예금이나 국채보다 높은 이자 수익을 추구하는 ‘수익률 보강재’ 역할을 맡길 수 있습니다. 주식 비중이 낮은 포트폴리오에 활력을 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중립형 투자자: 전체 자산의 10~15%를 편입하여 주식과 채권의 중간 다리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 있습니다. 주식 시장 하락 시에는 손실을 방어하고, 채권 금리 하락 시에는 자본 차익도 기대하는 ‘하이브리드 자산’으로 활용합니다.
- 공격 추구형 투자자: 주식 비중이 높은 투자자에게 HYG는 큰 의미가 없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매월 현금 흐름이 필요한 공격적 투자자라면, 포트폴리오의 10% 내외로 편입하여 ‘월세 통장’과 같은 현금 흐름 창출용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HYG를 포트폴리오의 핵심적인 안전자산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는 점입니다. 어디까지나 위험을 감수하고 추가 수익을 노리는 ‘위성 자산’ 또는 ‘수익 보강 자산’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2. HYG ETF 투자 전 최종 점검을 위한 체크리스트
아래 질문들에 답해보며 HYG ETF가 당신의 투자 철학과 맞는지 최종적으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 ] 나의 투자 목표는 무엇인가? (매월 현금 흐름 창출, 포트폴리오 수익률 제고 등)
- [ ] 나는 경기 침체 시 -20% 이상의 자산 가격 하락을 감내할 수 있는가?
- [ ] 나의 투자 기간은 최소 3~5년 이상인가? (단기 투자에는 적합하지 않음)
- [ ] 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과 그에 따른 가격 변동 위험을 이해하고 있는가?
- [ ] 포트폴리오 내에서 주식과 채권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목적으로 편입하는가?
- [ ] 0.49%의 연간 운용 보수가 장기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하고 있는가?
- [ ] JNK 등 다른 대안 ETF와 비교해 보았는가?
- [ ] HYG에서 발생하는 배당금에 대한 세금(배당소득세) 문제를 고려하였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