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반도체 회사 전망과 주가분석

반도체 산업은 세계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중 하나입니다. 모든 전자 제품의 핵심 부품으로, 그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요에 맞춰 생산량을 늘리고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최근 전기차부터 시작하여 드론, 스마트폰, PC등 나날이 발전해 가는 전기제품 구성품에는 반도체가 항상 들어가는데요 이중에 엔비디아(NVDA), AMD같은 굵직한 회사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미국 반도체 회사들중에 굵직한 회사들로 소개를 해보고자 합니다.

TICKERNVDATSMAVGOAMDTXN
회사명NVIDIA Corporation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Broadcom Inc.Advanced Micro Devices, Inc.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시가
총액
1.10T449.29B364.47B182.94B151.39B
2023년 8월 기준


반도체 시장은 AI전쟁중

엔비디아와 AMD의 칩전쟁

엔비디아는 최근 AI칩으로 인해 상당한 인기를 끌었고, 이를 실제로 매출로 보여주면서 주가는 21년 12월 이후 신고가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엔비디아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H100 AI패키지를 출시하였고 연이어 AMD에서는 MI300을 막 시작하였습니다.

AMD가 MI300을 출시한 이후 AI뿐만 아니라 특히 데이터 센터 부문에서는 엔비디아와 경쟁할수 있는 만큼 꽤 격차를 좁혀온것으로 보입니다. 엔비디아의 데이터 시장 점유율을 빼앗기 위해 AMD AI CHIP MI300을 도전적으로 마케팅하였으나 이전 9개월동안 미리 선점해온 엔비디아의 점유율을 어떻게 빼앗을지는 AMD의 숙제라고 볼수 있습니다.

AMD MI300

AMD MI300

엔비디아 H100

엔비디아 H100


일상생활에 이미 침투한 AI

최근 AI가 유행하면서 일부 사람들은 AI를 의심하고, 하나의 유행이나 과대광고등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의 유행이라고 해서 엔비디아나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에서 수십억 달러를 쓰면서 서버비용을 유지하는것을 보면 과하다는 생각을 할수 있습니다. 또한 AI가 개발되고 소셜 미디어 웹에서 AI가 활성화되어 사용되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에서의 AI활성화는 작업은 글을 자동으로 올리는 것뿐만이 아니라 자신의 아바타나 프로필 사진의 얼굴까지 생성할 정도로 많은 발전이 되어 있습니다. 이를 생각해보면 다른 한편으로는 당장은 아니지만 AI를 이용한 작업이 일반인들에게까지 퍼진다면 사진작가의 직업이 없어질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AI로 생성된 프로필 사진들

AI로 생성된 프로필 사진들


TSMC의 실적에 주목하자

대만에 있는 TSMC(Taiwan Semiconductor)는 엔비디아의 A100 및 H100 AI 칩을 생산하고 메타는 AI칩을 구매합니다. 따라서 두 수익 보고서를 보면서 엔비디아 비즈니스의 공급과 수요의 양면을 모두 볼 수 있습니다.

TSMC는 AMD, 애플(AAPL), 인텔(INTC), 엔비디아(NVDA)등을 위한 고성능 CPU나 AI칩을 생산하는 회사입니다. 즉 TSMC의 수요나 매출에 따라서 각 회사의 필요로 하는 생산량을 가늠해볼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프로세서는 TSMC의 총 매출의 6%인 9억 2,600만 달러를 차지하며, 이는 TSMC내 HPC부문 수익중 13.6%를 차지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굳이 재무재표를 안보더라도 TSMC 실적발표중에 CEO가 하는 예기를 인용하더라도 어느정도 가늠할수 있을것입니다.

TSMC CEO CC
TSMC CEO CC

서버 AI프로세서 수요는 … TSMC 총 매출의 약 6%를 차지합니다. 우리는 이것이 향후 5년 동안 50%에 가까운 CAGR로 성장하고 수익의 10% 미만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TSMC CEO, ’23년 2분기 실적발표

엔비디아가 TSMC AI프로세서 분기 수익에 80%를 기여했으며, 그들이 생각하는 예상 AI 데이터 시장 점유율보다 낮은 수치라고 가정하고 있습니다. 실제로는 90%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이런 예기는 TSMC에 대한 엔비디아의 수익 기여도 6%이며, 엔비디아의 수익의 대부분이 데이터 센터 부문의 56%로 발생이 된다고 합니다. 이는 엔비디아에서는 분기당 평균 TSMC에 6억 7천만 달러를 지출 했을것이라고 계산을 할 수 있을겁니다.


메타(META)는 엔비디아의 칩이 필요하다

메타는 그들의 플랫폼을 사용하면서 AI서버로 더 많은 전환을 위해서 비AI서버 지출의 우선 순위를 낮추고 AI서버에 대한 지출을 늘렸습니다.

우리는 2023년 전체 자본 지출이 이전 추정치인 300억 ~ 330억 달러에서 낮아진 270억 ~ 300억 달러 범위에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감소된 예측은 특히 비 AI 서버에서의 비용 절감 과 전체 투자 계획의 감소보다는 프로젝트 및 장비 납품 지연으로 인한 2024년 자본 지출의 이동으로 인한 것입니다 .

앞으로 우리는 올해 진행하면서 계획을 계속 수정해 나갈 것이지만, 현재 우리는 특히 AI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 센터와 서버 모두에 대한 투자로 인해 2024년에 총 자본 지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Susan Li, CFO, 메타플랫폼 2023년 2분기 실적 보도 자료

이는 AI에 대한 우선 순위가 높아질것이라는 의미이며, CPU기반 서버에서 GPU기반 AI서버로 지출이 활발하게 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플랫폼의 가장 큰 자본 지출은 해당 서버를 수용하는 데이터 센터이며, 메타는 자체 AI 포워드 프로세서(MTIA(Meta Training and Inference Accelerator))를 위한 노력은 하고 있지만 엔비디아의 H100 DGX 시스템을 계속 구매하여 GPU기반 서버로 변경하고 있습니다.

META, AI연구 슈퍼컴퓨터와 엔비디아의 칩
META, AI연구 슈퍼컴퓨터와 엔비디아의 칩

엔비디아의 H100 DGX는 딥러닝 교육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메타가 자체 데이터센터에 대해 집중을 하고 있습니다. 잠재적이지만 그들의 말로는 2025년 칩 릴리스에 대해서만 ‘진행중’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거의 모든 주요 하이퍼스케일러 및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하드웨어를 구입하여 사업을 시작한다고 합니다.

엔비디아가 TSMC로 부터의 대규모 공급을 확보하고 엔비디아의 고객이 자체 반도체 및 AI패키지로 2024년 하반기까지도 지속해서 우수한 성능을 유지하고 많은 칩이 필요할것으로 보이긴 하지만 향후 퀄컴(QCOM)과 AMD등 타사와의 경쟁으로 입지는 약해질수 있으며, TSMC에서 지속해서 제조 비용을 증가시킴으로 인한 수익에 대한 불확실성은 조금 있다고 봐야 합니다만 사실 엔비디아는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만큼 고객들에게 가격을 지속적으로 올리고 있는 상황이기는 합니다.


브로드컴(Broadcom)의 AI 워크로드

브로드컴(AVGO)에 대한 회사수익의 35%를 차지하는 네트워킹 반도체 사업 부문은 이더넷 스위치 반도체 시장에서 브로드컴이 탁월한 제품 성능에 힘입어 시장 점유율을 80%나 차지하는 지배적인 위치에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또한 반도체 포토닉스 솔루션의 통합을 통해 광학 분야에서도 잠재적인 성장 기회에 주목을 하였습니다.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데이터 센터 및 엔터프라이즈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로드컴의 프로세서 및 ASIC의 중요성과, 네트워킹 부문에 대한 2026년까지 평균 17.4%의 성장률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앞으로 5년정도 매년 11%를 능가할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킹, 스토리지, 무선 및 광대역등 전체 매출에 78%를 차지하고 있으며 브로드컴의 전체 반도체 부문은 총 25.4%의 성장률로 21년보다 더 견고하게 성장하고 있는중입니다. 그뒤를 이어 광대역 및 무선 부문은 작년에 비해 성장률이 낮습니다만 전체 부문에서 본다면 3년 평균보다 더 높게 성장하는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세계최오 50G 차량용 이더넷을 출시했고, AI/ML 워크로드용 PCIeGen5.0칩과 Gen7 FIBRE채널용 64G 스위치를 출시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MegaRAID는 거의 모든 DAS환경을 처리하는 RAID컨트롤러 카드 라인으로 이전 세대보다 두배의 성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스토리지 부문의 경우 보고서에 명시된 제품을 기반으로 이더넷 어댑터, 스토리지 컨트롤러 등 전반적으로 18.15%의 CAGR을 달성했습니다.

Fibre Channel Host Bus Adapter
Fibre Channel Host Bus Adapter


아날로그 및 내장형 칩부문의 시장 리더인 텍사스인스트루먼트(TXN)

텍사스인스트루먼트(이하 TXN)는 다양한 시장중에서도 특히 산업 및 자동차 시장에 대한 칩을 생산하는 회사입니다. 다른 반도체 회사와 서로 다른 경쟁 우위에 있고 자본 배분 및 건전한 대차대조표를 가지고 있는 TXN은 전문가들에 의한 주가의 공정가치는 176달러로 평가되어 있다고 합니다.

TXN 23년 8월 기준 YTD 차트
TXN 23년 8월 기준 YTD 차트

다른 반도체 회사들은 AI기반으로 인해 불타오고 있고 AI를 광고하기 위해 때로는 과대광고를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TXN은 현금 흐름이 좋고 장기적으로 시장을 능가하는 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상대적으로 매력적인 수익률과 괜찮은 배당수익율(2.97%)로 현재 주당 4.96달러의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19년 연속 배당 성장세를 보이며 미래에는 배당귀족이 되기 위한 길을 가고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TXN 10년 차트
TXN 10년 차트

TXN은 아날로그 및 임베디드 칩 부문의 시장 리더로써 아날로그 부문에서는 총 수익의 77%를 차지하며 총 시장에 17.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칩의 주요 장착되는 곳은 전기자동차이며, 전기자동차의 수요가 상승하면 할수록 점유율은 점차 높아질것으로 보입니다. 임베디드 프로세서의 총 수익은 16%를 차지하며, 이는 총 시장의 11.6%의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아날로그 칩은 주로 스마트 온도 조절기, 습도 및 온도 동작 감지 센서, 진단 정보 전송기, 그외 센서에 들어가는 칩들입니다. 요즘 차들이 센서가 많아지고 다양한 기능이 생김에 따라 TXN반도체 수요는 점차 늘어날것으로 판단됩니다.

TXN의 생산 장점으로는 300mm 웨이퍼로 생산을 하는데 주로 200mm웨이퍼를 사용하는 타 업체보다 40%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을 할수 있고 약 8만개 제품의 제품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물론 포트폴리오를 더욱 확장하기 위해서 연구 개발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는것도 사실입니다.

TXN의 단점이라면 총 수익중 25%정도가 중국에서 나오고 있고 실제로 현지에서 생산하여 중국으로 납품을 하기도 합니다. 이는 향후 제약을 받을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앞서 말씀드린 광범위한 포트폴리오를 통해 중국외에도 매출을 올릴수 있는 기회를 찾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각 회사별 비교지수

반도체 회사의 비교지수

NVDA / TSM / AVGO / AMD / TXN에 대한 최근 5년동안의 비교지수
NVDA / TSM / AVGO / AMD / TXN에 대한 최근 5년동안의 비교지수

각각 엔비디아 563.71%, TSM 124.62%, AVGO(브로드컴) 292.80, AMD 478.38%, TXN(텍사스인스트루먼트) 46.29%입니다.

이중에 다른건 그렇다 치고 TXN이 저조한거 같은데요, 아무래도 TXN은 배당성향이 좀 강한측면이 있어서 그런것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AMD의 주가가 478%인것이 세삼놀랍게 느껴지네요, 엔비디아(NVDA)는 최근 AI붐으로 인한 많은 상성이 있었습니다. 그전까지는 사실 AMD가 좀더 주식적인 측면에서는 좋았다라고 차트상으로 볼수 있습니다.


마치며

반도체 경기는 최근 경기침체로 인해서 많은 하락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전기자동차, AI등에 의한 소식으로 급격히 상승한 경향이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AI나 전기자동차는 이제 시작이라고 판단하며, 앞으로도 많은 수익과 비용을 감당해야 할 것을 고려해 볼때 좀더 장기적으로 본다면 4차산업 혁명에 대한 반도체시장은 밝다고 전망할수 있을거 같습니다. 반도체 주식의 경우 23년 초에 매수를 하셨던 분들은 아무래도 편안하실거 같고 최근 구매하려는 분들에게는 부담이 될수 밖에 없을거 같습니다. 반도체라는 회사가 워낙에 사이클(CYCLE)이 있고 길게 가다보니 타이밍을 맞춰서 엔비디아처럼 많이 벌수도 있고 TXN처럼 배당을 받아가면서 느긋하게 가실분들도 있을것으로 생각합니다. 모든 투자는 본인의 성향과 판단에 의해서 이뤄진다고 생각합니다. 해외 반도체 회사에 관심이 있으셨던 분들은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투자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KimPro Story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